본문
김병필 협력변리사
연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제35회 기술고등고시 합격한 후 특허청 심사관, 특허심판원 심판관, 대법원 지식재산권조 기술서기관을 역임하였습니다.
현재 청어람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 김병필 변리사는 화학분야 전공자로서 특허청, 특허심판원, 대법원을 거친 화학 및 의약분야 특허기술의 권리화 및 분쟁대응전략 수립에 관한 지식재산 전문가입니다.
현재 청어람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 김병필 변리사는 화학분야 전공자로서 특허청, 특허심판원, 대법원을 거친 화학 및 의약분야 특허기술의 권리화 및 분쟁대응전략 수립에 관한 지식재산 전문가입니다.
학력
-
2000
연세대 화학공학과 학사
경력
-
1999
제35회 기술고시 합격
-
2000
특허청 심사관 [생명공학심사과, 정밀화학심사과, 무기화학심사과]
-
2010
특허심판원 심판관
-
2012
대법원 지식재산권조 기술서기관
-
2014
워너비 특허법률사무소 파트너 변리사
-
2017
청어람 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
주요저서 / 논문 / 기고문
- 의약발명 유형별 특허요건 판단에 관한 대법원 법리 및 판례 소개 (선택발명, 광학이성질체 발명, 결정형 발명, 의약 용도발명, 투여용법 및 투여용량 한정발명, 제법 한정 물건발명을 중심으로), 한국보건산업진흥원, (2016. 7)
-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(대법원 2015. 1. 22. 선고 2011후927)을 통해 살펴 본 Product-by-Process 청구항의 신규성 내지 진보성 판단, 지식과 권리, 대한변리사회(2016)
-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(대법원 2015. 1. 22. 선고 2011후927)을 통해 살펴 본 Product-by-Process 청구항의 신규성 내지 진보성 판단, 특허와 상표, 대한변리사회(2016. 5)
- 균등침해 제1 요건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결 소개 및 시사점 분석, 특허와 상표, 대한변리사회(2015. 5)
- 청구범위 해석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의 참작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결 분석 및 외국 사례와의 비교 검토’, 지식재산 연구 제9권 제2호, 한국지식재산연구원·한국지식재산학회 (2014. 6)
- 수치한정발명과 파라미터 발명의 특허성 판단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에 관하여(양 발명의 통합적인 판단기준 제시를 중심으로), Law & Technology 제10권 제1호,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(2014. 1)
- 파라미터 발명의 진보성 판단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방법에 관하여’, 특허와 상표 제822호, 823호, 대한변리사회 (2013. 11)
- 수치한정발명의 진보성 인정 사례에 관한 유형별 검토, 특허와 상표 제814호, 대한변리사회(2013. 7)
- 균등침해 요건 중 과제해결원리의 동일성 요건에 대한 고찰, 지식재산 연구 제8권 제1호, 한국지식재산연구원·한국지식재산학회 (2013. 3)
- 특허심판에서 당사자 간 다툼이 없는 경우 확인의 이익, 지식과 권리 통권 제16호, 대한변리사회(2013)
- 최근 미국(2009년)과 일본(2012년)의 판례를 통해 살펴 본 ‘제법한정 청구항’의 해석론에 관한 고찰’, 발명특허37권 12호(437호), 발명진흥회 (2012. 12)
- 민사소송의 소송요건 관점에서 바라본 특허심판에서의 심판의 적법요건 검토, 발명특허37권 3호(428호), 발명진흥회 (2012. 3)